2025 새로워진 출산·양육 지원정책 한눈에 ①

등록일

2025-02-03

정보제공처

보건복지부

2025 새로워진 출산·양육 지원정책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카드뉴스를 통해 확인해 주세요.


아이와 안전하고 건강하게 함께 할 수 있도록 2025년 새로워진 출산 양육 지원 정책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 확대 생식세포 동결보존비 지원 최근 10년 간 초혼 및 출산 연령이 높아지는 상황 첫 출산 연령이 높아질수록 임신 합병증 및 유산·조산 위험, 난임 진단 가능성이 높으며 남성 난임 진단도 증가하는 추세, 초혼 및 출산 연령 변화 초혼연령 2013 남 32.2세 여 29.6세 2023 남 34.0세 여 31.5세 출산연령 2013 31.8세 2023 33.6세 *35세 이상 비중 36.3% 남성 난임 진단 증가 총 난임 진단자 227,867명 2019 2023 241,942명 남성 난임진단자 2019 79,582명 2023 88,053명 건강한 임신과 출산을 위해서 임신준비 단계부터 세밀한 지원을 시작합니다. ①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 확대 지역, 결혼 여부 및 자녀 수와 관계없이 모든 20~49세 남녀에게 최대 3회로 가임력 검사 비용 지원이 확대되었습니다.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 가임기 남녀의 성·생식건강 증진 및 임신·출산 고위험요인의 조기 발견 기회 제공으로 난임 예방 등 건강한 임신·출산을 지원하는 사업 · 지원대상: 모든 20~49세 남녀 중 가임력 검사 희망자 * 결혼 여부 및 자녀 수 무관 * 내국인 배우자가 있는 외국인 지원 가능 · 지원 검사항목 - 여성 : 난소기능검사(AMH) 부인과 초음파 - 남성 : 정액검사(정자정밀형태검사) · 지원금액  - 여성 : 최대 13만 원 - 남성 : 최대 5만 원 · 지원 횟수: 주요 주기별 1회, 최대 3회 지원  * 29세 이하(제1주기) 30~34세(제2주기) 35~49세(제3주기) ■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 지원 절차 · 지원신청: e보건소 온라인 신청(e-health.go.kr) 또는 주소지 관할 보건소 방문 신청 · 지원 결정 및 검사의뢰서 발급 보건소 담당자의 지원 결정 후 검사의뢰서 발급(e보건소에서 확인 가능) *의료기관 방문 시 검사의뢰서(출력물 또는 모바일 화면) 제시 · 검사 및 결과상담 - 기간: 신청일로부터 3개월 이내 - 사업: 참여 의료기관에서 검사 · 검사비 청구 및 지급 - 기간: 검사일로부터 1개월 이내 - 방법: e보건소 온라인 청구 또는 보건소 방문 청구 * 청구일로부터 3개월 이내 지급 ② 생식세포 동결보존비 지원사업 신설 의학적 사유로 영구 불임이 우려되는 남녀 대상으로 가임력 보존 및 임신·출산 가능성 확보를 위한 생식세포 동결보존 비용을 지원합니다. · 지원 계획 : '25년 4월부터 시행 · 지원 대상 : 의학적 사유*에 의한 생식 건강 손상으로 영구불임이 우려되는 남녀 ※ 결혼 여부와 무관 * 의학적 사유 1. 유착성자궁부속기절제술 2. 부속기종양적출술 3. 난소부분절제술 4. 고환적출술 5. 고환악성종양적출술 6. 부고환적출술 7. 항암치료(항암제 투여, 복부 및 골반 부위 포함 방사선 치료, 면역 억제 치료) 8. 염색체 이상(터너증후군, 클라인펠터증후군, 균형전이에 따른 생식기 기능 저하) <생식세포 동결보존비 지원사업> 생식세포 동결보존을 위해 본인이 지출한 비용의 50% 이내, 최대 200만 원까지 지원해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겠습니다. · 지원 규모 : 과배란 유도, 생식세포(난자·정자) 채취 및 동결 등 생식세포 동결 보존을 위해 본인이 부담한 비용의 50% 이내 지원 * 여성 최대 200만 원 지원, 남성 최대 30만 원 지원 안전하고 건강한 임신·출산·양육을 위해 보건복지부가 여러분과 동행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