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하기 어려운 상황엔 '똑똑112'

등록일

2025-05-29

정보제공처

보건복지부

발달장애인을 위한 경찰 신고 방법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카드뉴스를 통해 확인해 주세요.


두려움은 줄이고 필요할 때 도움받을 수 있도록 ■ 발달장애인을 위한 경찰 신고 방법 한눈에 보기 보건복지부 ■ 발달장애인을 위한 경찰 신고 안내서는 이런 분들에게 꼭 필요해요! · 경찰의 도움이 필요한 때가 언제인지를 모르겠어요. · 경찰의 도움이 필요할 때는 알고 있지만, 신고 방법을 몰라 힘들어요. · 신고할 때 경찰관에게 문제 상황을 설명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껴요. · 빠르게 도움이 필요할 때 주변 사람들에게 어떻게 요청해야 할지 궁금해요. 경찰에 꼭 신고해야 할 상황부터 방법까지 함께 확인해요! ■ 이런 일이 있을 때, 경찰에 꼭 신고해야 해요 · 아동학대: 어린이를 제대로 돌보지 않거나 신체적, 정서적, 성적으로 괴롭히는 것. · 노인학대: 노인을 제대로 돌보지 않거나 신체적, 정서적, 성적으로 괴롭히는 것. · 시비·협박: 싸움을 걸거나 무섭게 행동하며 겁을 주는 것. · 납치·감금: 강제로 붙잡아 두거나 가두는 것. · 사건·사고: 생각하지도 못한 일이 발생해서 도움이 필요한 상황. · 실종: 사람이 어디에 있는지 모르는 상태. 이 외에도 치기, 절도, 강도, 살인 등이 있어요! ■ 폭력을 당했을 때 경찰에 꼭 신고해야 해요 · 가정폭력: 부모님, 형제, 친척 등 가족이 다른 가족의 몸이나 마음을 아프게 하거나 괴롭히는 것. · 교제폭력: 애인의 몸이나 마음을 아프게 하거나 괴롭히는 것. · 성폭력: 성적인 말을 함부로 하거나 몸을 억지로 만지거나 원하지 않는 성행위를 강제로 하는 것. ■ 사기를 당했을 때 경찰에 꼭 신고해야 해요 · 보이스피싱: 전화로 사람을 속여 돈을 보내라고 하거나 개인정보를 빼내는 것. · 스미싱: 문자로 가짜 인터넷 주소를 보내 돈이나 개인정보를 빼내는 것. · 메신저피싱: 다른 사람의 메신저 아이디를 몰래 이용해 친구나 가족인 척 돈을 보내라고 하거나 개인정보를 빼내는 것. · 그 밖의 사기: 거짓말로 속여 돈, 통장 및 비밀번호 등 개인정보를 빼앗아 이익을 보는 것. ■ 경찰에 쉽고 빠르게 신고하는 방법을 알아봐요! · 전화. 112에 전화하여 신고하기. - [신고 내용] 이름, 장소(위치), 신고하는 이유. · 문자. 문자 받는 사람에 112를 입력하고 신고 내용을 문자로 보내기. - [신고 내용] 이름, 장소(위치), 신고하는 이유. · 경찰서나 파출소, 지구대를 직접 찾아가기. ① 집에서 가까운 경찰서, 파출소, 지구대 위치 미리 알아두기. ② 낯선 곳에서 신고해야 한다면 주변 사람들에게 가까운 경찰서나 파출소, 지구대 위치 묻기 또는 인터넷 검색하기. ■ 말하기 어려운 상황엔 어떻게 신고하나요? · 똑똑112. ① 112를 눌러 전화 걸기. ② 112에서 전화를 받으면 아무 숫자 버튼 누르기.  * 내가 말하기 어려운 상황인 것을 경찰이 알게 돼요. ③ 휴대폰으로 '보이는 112' 문자메시지가 오면, 문자 속 링크 누르기. ④ '동의 및 연결하기' 버튼 누르기. ⑤ '카메라와 마이크 사용' 관련 메시지가 나오면 허용 버튼 누르기.  * 경찰이 내 휴대폰 카메라로 내가 있는 곳을 찍어서 볼 수 있게 돼요. ■ 주변 사람에게 도움을 요청하세요 · 가족, 선생님, 동료, 활동지원사 등 주변 사람에게 도움을 요청합니다. · 피해 사실을 정확하게 이야기하고 적절한 신고 방법을 찾아 신고합니다. · 신고 이후, 수사가 시작되어도 주변 사람들의 도움을 계속 받을 수 있습니다. · 주변 사람들과 지원 기관의 도움을 같이 받아도 좋습니다. ■ 언제든지 도움을 요청하세요 - 지원 기관을 통한 도움 요청. · 장애인권익옹호기관. 장애인학대를 예방하고, 학대 피해를 겪은 장애인을 돕는 기관. ☎ 전화번호: 1644-8295 · 발달장애인지원센터, 대한법률구조공단. 법적인 싸움을 해야 할 때 소송에 도움을 주는 기관. ☎ 전화번호: 발달장애인지원센터 1522-2882, 대한법률구조공단 132 · 여성긴급전화 1366. 여성이 가정폭력, 성폭력, 교제폭력을 당했을 때 도움을 주는 기관. ☎ 전화번호: 1366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근로자 지원센터,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 직장에서 월급을 받지 못하거나 괴롭힘과 같은 어려움을 겪고 있을 때 도움을 주는 기관. ☎ 전화번호: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근로자 지원센터 1533-5915,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 1350 · 국가인권위원회. 인권침해나 차별을 당했을 때 도움을 주는 기관. ☎ 전화번호: 1331 발달장애인이 안전하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보건복지부와 경찰청이 항상 곁에서 함께하겠습니다. 발달장애인이 범죄로 인한 피해나 위협으로 도움이 필요할 때 쉽게 경찰에 신고할 수 있도록 만든 안내서를 보내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