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약계층, 이제 증명할 필요 없어요! - 표준자격플랫폼을 통한 복지서비스 제공 - 에휴.. 아들이 사고 후유증으로 고생이라 체육센터 수중재활교육을 알아봤는데.. 수강료가 만만치 않네.. 나 취약계층 ‘공공시설 이용요금 감면’을 알아봐! 국가에서 운영하는 체육시설, 문화시설, 주차장 등 다양한 공공시설의 이용료를 감면 받을 수 있어~ 체육시설 이용료도 감면 해준다고? 근데  막상 그런 거 신청하려면 서류가 얼마나 복잡하고 번거로운지 알기나 해? 얘가 아직도 모르네~ 이제 취약계층이라는 증명서류를 떼어서 갈 필요가 없어졌다구~ 국민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복지자격을 자동으로 확인해주어, 취약계층이 편리하게 복지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어! 이게 다 ~ 한국사회보장정보원의 ‘표준자격플랫폼’ 덕분이지~ 오호~ 표준자격플랫폼? 그게 뭔데? SSiS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아름드리 안녕하세요? 아름드리입니다. 저희가 쉽게 설명해 드릴게요. 한국사회보장정보원은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를 위하여 복지대상자를 발굴하여 지원하는 공공기관입니다. 표준자격플랫폼은 취약계층* 분들이 증명서류를 떼지 않고 편리하게 복지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도록 복지자격을 확인해주는 시스템입니다. *취약계층 : 기초생활수급자(생계, 의료, 주거, 교육급여), 차상위계층, 한부모, 장애인 등 '표준자격플랫폼' 도입 후 변화 기존 ① 주민센터 방문 → ② 취약계층 증명서 발급 → ③ 감면기관 방문 → ④ 감면 신청서 작성 시 관련서류를 함께 제출 개선 취약계층 확인과 동시에 감면 신청 완료! ※ 단, 일부 감면기관의 경우 정확한 요금감면 또는 업무처리를 위하여 증빙서류를 요청할 수도 있음 표준자격플랫폼을 통해 지원되는 취약계층을 위한 공공시설 이용요금 감면 관련 서비스는 무엇이 있을까요? 4편 공공시설 이용감면 서비스 (기준일 : 2020.6.4) 공공시설 이용요금 감면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주차관리시스템 공공시설 이용요금 감면 공공시설 이용요금 감면이란? 공공시설 이용요금 감면 자격확인 서비스는 지자체 및 지방공사(단)이 운영하는 체육센터, 문화시설 등 자격증명 서류를 제출하지 않아도 온라인/오프라인 신청 시 본인이 동의하면 법정 감면자격 여부를 확인하여 즉시 요금을 감면해 주는 서비스 지원대상 기초생활수급자(생계, 의료, 주거, 교육), 장애인, 한부모, 차상위계층, 의사상자 ※ 공공시설 특성과 거주지에 따라 지원대상과 감면율이 상이할 수 있음 지원내용 체육센터, 문화시설, 공원, 주차장, 청소년, 교육관 등 거주지 공공시설 이용료에 대한 감면 지역현황, 문의처 등 표준자격플랫폼을 통한 공공시설 이용요금 감면 서비스의 지역현황 및 문의처 등 상세정보는 [첨부파일]을 참고 이용예시 1. 대구광역시 대구시설공단 홈페이지에서 체육강좌 온라인 수강신청 이용 2. 수강접수 후, 결제 시에 [행정감면서비스 이용하기] 버튼을 클릭 후, 회원의 주민번호를 입력(개인정보 동의하에)하여, 감면사유를 조회 3. 감면대상서비스 조회 성공 시, ‘정상 처리되었습니다.’라고 메시지가 보여짐 4. 요청하신 감면대상서비스가 이용하시는 시설의 할인사유와 일치할 경우, ‘선택하신 할인사유의 할인율은 00% 입니다’ 라는 메시지가 보여지며, 금액을 확인하고 [결제신청] 버튼을 클릭하여 결제를 진행 ※ 접속한 홈페이지 오류로, 감면대상 확인이 어려운 경우 각 홈페이지 담당기관으로 문의 필요 ※ 일부 시설의 경우 정확한 요금감면 혹은 업무처리를 위해 오프라인 증빙서류를 요청할 수 있음 ※ 온라인 신청 시스템이 없는 감면기관인 경우, 감면기관에서 대면신청 시 증빙 서류제출 없이 처리가 가능한 경우도 있음 장애인주차구역 관리시스템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주차관리시스템이란?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주차 차량을 단속하여 장애인전용주차구역 관리/감독을 지원하는 전산 시스템 자체 단속 및 국민신문고 신고, 자동 차량번호 조회 단말기로 확인된 불법 주차 차량에 대한 적절한 조치(과태료 부과, 주차불가 안내, 견인 등)가 됨으로써 장애인주차구역 이용이 필요한 취약계층에게 서비스가 제공되는 기틀 마련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장애인 주차가능 표지를 부착하고 있는 차량 중 보행상 장애가 있는 장애인이 직접 운전하거나 탑승한 차량을 위해 마련된 주차구역을 의미하며, 주차구역 안내를 위해 구역 주변 안내판 혹은 바닥에 전용주차구역 표시가 되어있음 장애인전용 주차구역 이용가능 대상 장애인 차량이면서,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주차가능 표지 발급 대상 보훈대상자 차량이면서,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주차가능 표지 발급 대상 ※ 거주지 주변 읍면동 주민센터를 통해 발급 문의 주차관리시스템과 표준자격플랫폼과의 관계 표준자격플랫폼은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주차관리시스템에 주차가능 차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서비스를 당연히 받아야하는 대상이 증명할 필요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시행 중인 지역현황 (2020. 06. 05. 기준) 총 31개 지역 서울(3) : 송파구, 양천구, 강남구 경기(8) : 성남, 의정부, 양주, 남양주, 이천, 구리, 광명, 의왕 울산(3) : 남구, 북구, 중구 경남(3) : 진주, 김해, 양산 충남(3) : 천안(서북구), 천안(동남구), 계룡시 대구(2) : 수성구, 북구 경북(2) : 김천, 경주 전남(2) : 순천, 목포 충북(3) : 음성, 청주, 진천 인천(1) : 부평구 강원(1) : 원주 표준자격플랫폼 마지막편 SSiS 한국사회보장정보원

※ 각 지자체별 상세안내는 첨부파일에 담았으며, 검색 및 활용을 위해 부득이 엑셀파일 형태로 첨부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