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7 신고센터 개소 2년, 학교폭력 신고 22% 감소

등록일

2014-06-18

정보제공처

정책브리핑


경찰청(청장 이성한)은 ’14. 6. 18. 117 학교폭력 신고센터(이하 117센터) 개소 2주년을 맞아 그간의 운영 성과를 분석하고, 신고 활성화 및 피해자 보호 강화 등 학교폭력 근절을 위해 지속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117센터는 ’11년까지 경찰청(117), 교육부(1588-7179), 여성가족부(1388)로 분산되어 있던 학교폭력 신고전화를 ‘117’로 통합, ’12. 6. 18. 전국 지방경찰청(17개소)에 설치.운영하여 왔다.

그간 운영 성과를 살펴보면, 〈신고〉 ’12년 117센터 개소 이후 학교폭력 신고가 급증하였으나 ’13년 6월 이후 점차 안정화되어 2년차(’13.6월~’14.5월)에는 日평균 238건으로 1년차(’12.6월~’13.5월) 306건에 비해 22% 감소하였다.

〈유형〉 폭행(31%) 비율이 가장 높으나, 초기에 비해 폭행.공갈(금품갈취)는 감소하고, 모욕.협박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치〉 신속한 가.피해학생 수사.보호를 위해 긴급출동.수사지시 상담.지원필요시 학교전담경찰관 또는 Wee센터(교육부).Cys-net(여성가족부) 등 전문기관 연계 기타 전문상담을 통해 문제해결 및 법률.절차 안내 등을 실시하고 있으며,

금년 들어 학교폭력 해결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학교전담경찰관 연계를 강화, 상대적으로 상담종결 비율은 크게 감소하였다.

〈사후관리〉 1차 상담종결된 사안 중에서도 문제해결이나 추가 피해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는 경우, 상담요원이 다시 전화·상담하여 피해자 보호 및 문제 해결을 위해 적극 노력하였다.

※ ’14년 학교폭력 신고 30,965건 중 26,950건 사후모니터링 실시

→ 총 2,646건 추가 조치(긴급출동 29, 수사지시 16, 전담경찰 연계 189 등)

〈만족도〉 그간 신고 활성화 및 원스톱 문제 해결 노력 등으로, 청소년폭력예방재단 설문조사 결과 학교폭력 목격시 117센터(경찰)에 도움을 요청하겠다는 응답(33.9%)이 가장 많았으며,

※ 청소년폭력예방재단 실태조사 결과(’13.12월~’14.1월)

117 신고자 만족도 조사*에서도, 상담에 만족했다는 응답이 80%, 117에 전화하여 학교폭력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었다는 응답이 78%로 나타나, 117센터가 명실상부 학교폭력 문제 해결사이자 대표 브랜드로 자리매김한 것으로 평가된다.

* 117신고자 510명 대상 전화조사(6.11~13, 경찰청 고객만족모니터센터)

앞으로 경찰청은 학교폭력 신고를 보다 활성화하기 위해 ‘117로고 및 슬로건 공모전’을 통해 117센터에 대한 친근한 이미지를 구축하는 등 학생들이 마음 편하게 신고하도록 유도하고,

스마트폰으로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117센터로 신고·상담할 수 있는 117 채팅신고 앱(App)을 개발.운영해 나갈 방침이다.

아울러, 117센터-전문기관(Wee센터.Cys-net)간 연계시스템을 구축하여 심층 상담.지원이 필요한 피해학생을 적절한 기관에 즉시 연계하는 등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고,

조치 결과에 대한 실시간 피드백 및 긴밀한 정보공유를 통해 피해자에게 보다 전문적.체계적인 지원을 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방학기간 중 117 상담요원에 대한 전문교육을 실시하고 우수 대응사례를 지속 발굴.공유하는 등 117센터의 학교폭력 대응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도 지속 노력할 계획이다.

※ 〈붙임1〉 117 신고센터 우수사례

※ 〈 붙임2 〉 117 신고센터 운영 현황

2014.06.17 경찰청